PYTHON| ChainMap
ChainMap이란?
ChainMap이란?
U-Net++ 논문 리뷰 및 pytorch를 활용한 구현
U-Net++ paper BoostCampAITECH
U-Net 논문 리뷰를 통해 구조 및 biomedical image segmentation에서의 응용을 정리하고, PyTorch 기반 구현으로 세부 구조와 학습 방식을 분석
U-Net paper BoostCampAITECH
WSSS는 픽셀 수준 어노테이션 없이 이미지 수준 레이블만으로 의미론적 분할을 수행하는 기법, 대표적인 접근법들을 간략하게 정리
KL-Divergence Loss 간단 설명 BoostCampAITECH
SegFormer는 효율성과 실시간 처리 능력을 강조한 Transformer 기반 semantic segmentation 모델로, hierarchical encoder와 lightweight MLP decoder를 통해 적은 연산량으로도 뛰어난 성능을 달성함, Overlapping patch merging, Efficient Self-Attention, Mix-FFN 등 구조적 혁신을 통해 기존 ViT 기반 모델의 한계를 극복
BoostCampAITECH
HRNet의 필요성부터 구조, 세부 구현 방식
BoostCampAITECH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DeepLab v2의 ASPP, PSPNet의 Pyramid Pooling, DeepLab v3의 GAP 통합, DeepLab v3+의 Encoder-Decoder 구조 및 Xception 백본 수정까지 주요 모델들의 구조적 차이와 발전 과정을 비교하며 정리. Global Contextual Information 활용 방식 중심.
ASPP global contextual information BoostCampAITECH
FCN의 Receptive Field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으로 Dilated Convolution을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계된 DeepLab v1과 DilatedNet의 구조와 특징, CRF 기반 후처리를 통한 정교한 예측 향상 방식
DeepLabv1 리뷰 DeepLab의 Atrous CNN DeepLab(2) Efficient Inference in Fully Connected CRFs with Gaussian Edge Potentials BoostCampAITECH
FCN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Decoder를 강화한 DeconvNet, SegNet과 Skip Connection을 활용한 FC DenseNet, U-Net의 구조적 특성
DeconvNet 리뷰 여러 유형의 Convolution BoostCampAITECH
cGAN 개념과 구조를 설명하고 Pix2Pix와 CycleGAN을 통해 이미지-이미지 변환 모델이 어떻게 설계되었는지, GAN의 한계를 보완하는 Perceptual Loss 방식과 SRGAN 등 고해상도 이미지 생성 방법, 응용 사례에는 뭐가 있는지
BoostCampAITECH